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복천 박물관

하절기의 복천박물관은 저녁 8시까지 합니다. 저와 남친은 오후 다섯시쯤에 집을 나서서 중간에 길을 좀 헤메고 도착했지요. 늦은 오후였지만 그래도 사진찍고 놀기엔 충분했습니다. 외부 고분동은 아무래도 6시까지 와야하는건지, 잠겨 있어서 들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어쩐지 올때마다 외부 고분동을 보는 걸 실패하네요.

집에서 즐기는 닭볶음탕

밥 대신 속이 든든한 술안주. 주로 올라오는 게 닭요리. 싸고 만들기 쉬우니까. (<-?) 무튼. 국물이 많은 것 같아도 먹다보면 늘 국물 부족.

저녁을 빙자한 술안주

전날 먹고 남은 닭강정을 먹기 좋게 잘라서 머스타드 소스와 곁들이고 양상추도 먹기 좋게 뜯어서 유자드레싱에 토마토를 끼얹으면 완성. 어디로보나 술안주. 겸사 겸사 맥주 한잔 한 것은 김사실.

동래 목촌돼지국밥 - 보쌈수육백반

왠지 수백이 땡기는 어느날 오후. 친구랑 같이 동래에 볼일 보러 나간 김에 수백을 먹고 왔습니다. 일전에 주례에서 처음 접했던 목촌은 너무 맛있었기 때문에 같은 맛일거라고 생각해서 들어갔죠. 그러나 글쎄요. 제가 처음 먹고 반했던 그 목촌 맛은 아니네요. 그때보다 보쌈 김치가 푸짐해지기는 했지만. 그때보다 가격도 올랐고. 고기도 사실 뭔가 좀 다릅니다. 크기는 커졌지만 길이는 짧아진 보쌈김치. 기대하고 들어갔던 맛이 아니라서 조금 서운했어요. 네. 그러합니다.

동래 탕수육맛집이라더니 김치찜이 더 맛있는 루홍조

동래고 옆의 태백관이 탕수육의 오리지널리티와 양으로 승부를 한다면, 동래 지하철역 앞의 루홍조는 탕수육의 새로운 맛으로 승부를 한다고 볼 수 있죠. 근데 다녀와보니 그게 아니었습니다. 이 집의 메인은 탕수육이 아니라 김치찜이었던 것입니다. 네. 그런 겁니다. 위치는 동래구 명륜동입니다. 동래 지하철역 4번 출구로 나와서 길을 건너 오른쪽으로 꺽어 조금만 걸어가면 바로 보입니다. 원래는 지난번에 먹으러 갔던 만원의 행복에 가려고 갔던건데 문을 닫았더라고요. 뭐 먹을까 그 근처를 한바퀴 돌다가 모처럼 데이트인데 집에 가서 시켜먹기는 뭐해서 지난번에 갔더 기억을 살려 탕수육 전문점 '루홍조'에 가기로 했습니다. 본래 지하1층에 있던 매장이 지상1층으로 확장을 했더군요. 지하 1층은 흡연구역, 지상1층은 비흡연구역입니다. 저는 당연히 비흡연구역으로!! 루홍조의 대표메뉴, 맛있는 간장탕수육과 시원한 생맥으로 쇼부를 칠까하다가 우리는 메뉴판에 낚여서 세트메뉴를 시키게 됩니다. 간장탕수육 + 김치찜 세트, 소주 1병, 생맥주 1700cc. 네. 그러합니다. 세트가 2만 4천원대, 소주가 3천원. 생맥주가 9천원입니다. 기본 세팅. 저 튀김이 과연 무슨 튀김인가하고 진지하게 씹어먹으면서 고민했습니다. 아무리 씹어먹어도 도통 무슨 맛인지 모르겠는데 모양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양파가 아닐까하고 짐작을.. 나올때 직원한테 물어본다는 게 깜빡했네요. 드디어 행차하신 간장탕수육. 전에 제 기억으로는 사각 접시였던 것 같은데, 마치 프라이팬이 떠오르는 타원형 접시로 바뀌었네요. 달콤 매콤 짭쪼름한 간장탕수육! 그리고 나와주신 김치찜. 고기가 아주 푸짐하게 들어있어요. 국물 한 숟갈 떠서 먹는데, 먹자마자 " 아, 이건 소주 안주다!! " 라는 생각이 딱! 재탕도 가능하기 때문에 따끈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다같이 갔는데 소주와 맥주로 취향이 갈릴 때 시켜도 좋을 것 같은 세...

부산 자연사박물관과 금강공원 + 짬타이거

자연사박물관에 또 다녀왔습니당. 오늘의 아이들은 활달하네요. 열대관의 악어는 아주 활달하네요. 이구아나들은 서로 뭔가 대화를 하고 있어요. 오늘 열대관 온도 괜찮나보네요. 정말 돼지코를 갖고 있는 돼지코 자라인가 거북인가. 오늘은 힘이 없는 비단뱀. 열대관의 손님맞이를 제대로 하고 있는 아나콘다 아나콘다 기분이 아주 좋아요. 박물관을 나와서 금강공원쪽 산책을 하는데 만난 짬타이거. 바위 위에 올라앉은 모습이 마치 그거네요. 그거. 호랑이. 오랜만에 들렀어도 재미있었던 자연사박물관입니다. 교통편만 좀 더 원활해지면 좋겠다는 마음입니다.

[혐짤주의/혐오주의/혈흔주의] 집에서 닭잡기 - 집에서 닭잡는 방법,집에서 닭잡기,집에서 닭털뽑기

※ 혐짤주의/혐오주의/혈흔주의  다시 한 번, 저렇게 경고 문구를 넣는 이유는 아무래도 동물 키우시는 분들이 거부감이 많으실 것 같아 그런데 저는 3월에 처음 김해에서 켄터키치킨 다섯마리를 사올때부터 먹으려고 사왔습니다. 그래서 애들 이름이 켄터키치킨이죠. 암탉은 한마리 남겨서 알을 낳도록 기르고, 수탉은 모조리 잡아먹는 것. 그게 제 계획이었습니다. 키우던걸 어떻게 잡아먹느냐고 잔인하다고 말하시는 분은..글쎄요. 이건 마음가짐의 문제라. 제가 키우던 고양이나 토끼를 잡아먹지는 않죠. 무럭무럭 자라난 녀석들은 어엿한 닭이 되었죠. 제가 잡기 좀 뭐해서 가져다 먹을 사람을 물색했지만, 집에서 닭잡는 방법을 모르기도 하고 집에서 닭잡기가 쉬운 것도 아니기 때문에 가져간다는 사람도 썩 없었어요. 그래서 그냥 제가 잡아먹었습니다. 넵. 제가 먹음. 닭잡는 방법을 몰라서 조금 고생도 했었고해서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라고 지난번의 티눈연고 사용법처럼 올려봅니다. 그때 커뮤니티 보니까 집에서 닭 잡아먹어야하는데 방법 몰라서 묻는 분들 많더라고요. 아무것도 모르고 닭장 안에서 잘 지내고 있는 켄터키. 맨 왼쪽의 터는 암컷이기 때문에 이 곳에서 가장 오래 삶을 연명했습니다. 그리고 이 날의 희생 대상은 가운데의 키죠. 켄은 너무 잘생기기도 했고요. 뭐든 못나면 안된다는 진리를 여기서 발견합니다. 저는 그냥 평범한 가정집에 살고 있기 때문에 딱히 닭을 잡을 수 있는 너른 부엌이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럼 어디서 잡느냐? 어렵지 않아요. 욕실에서 잡으면 됩니다. 화장실이 같이 있기도 하고 이래저래 위생적으로 조금 신경이 쓰일 수도 있지만서도 사실 집에서 닭잡기에는 욕실만한데가 없습니다. 오늘의 닭잡기 대상인 키를 닭장에서 빼고 문을 닫으니 닭장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하더군요. 그러나 이미 늦었습니다. ※ 혐짤주의/혐오주의/혈흔주의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만, 닭잡는 사진이 있으니 닭잡는게 궁금해서 들어오신 게 아니면 뒤로가기를 ...

저녁은 카레라이스!

고기를 넣어서 만들면 정말 좋겠지만, 고기를 요것 때문에 사기는 좀 애매해서 고기 대신 새송이 버섯을 깍둑썰기로 넣어서 같이 졸여줬어요. 땡초를 조금 섞어서 매콤하게! 문제는 너무 매워서 입이 따갑따갑...

영화 무서운 이야기 2

사건 기록을 여는 순간, 죽음의 세계가 펼쳐진다! 들어가는 이야기 _ <444>  보험회사 지하 비밀 창고. ‘박 부장’(박성웅)과 신입사원 ‘세영’(이세영)이 낡은 서류철을 꺼낸다.  죽은 자들과 소통하는 ‘세영’의 기이한 능력을 알아챈 박 부장은 보험 사기가 의심되는 사건들의 비밀을 파헤칠 것을 지시하고, ‘세영’은 기이한 사건들의 실마리를 하나씩 풀어간다. 이야기 하나_ 조난 괴담 <절벽>  끝이 보이지 않는 아찔한 절벽 위에서 조난 당한 두 친구(이수혁, 성준). 먹을 것이라곤 초코바 하나! 내가 살기 위해서는 친구가 죽어야만 한다! 이야기 둘_ 여행 괴담 <사고> 임용 고시 탈락의 우울함을 달래기 위해 즉흥 여행을 떠난 지은(백진희), 미라(김슬기), 선주(정인선). 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고 이후 이들의 여행은 악몽이 되고 만다. 이야기 셋_ 엘리베이터 괴담 <탈출>  교생 부임 첫 날, 학생들에게 제대로 망신 당한 ‘병신’(고경표)은 흑마술에 사로잡힌 여고생 ‘탄희’(김지원)가 알려준 괴담을 따라 하다가 지옥의 입구에 갇히고 만다. 다시 돌아가기 위해선 ‘탄희’가 알려주는 주술을 그대로 해야만 한다! 이런 시놉으로 펼쳐지는 영화. 솔직히 극장에서 보려다가 상영 시간이 영 안맞아서 결국 보지못했던 영화라 둘이 나란히 손잡고 집에서 앉아서 불끄고 봤는데, 중간 중간 놀래서 손에 땀이 차기는 했지만, 공포영화라기엔 아주 많이 부족했다. 일단 조난괴담 절벽은 나도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에 살을 더 덧붙힌 이야기 같고 여행괴담 사고까지는 그래 공포영화로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었는데 아니 대체 탈출은 뭐지? 그리고 444에서 박부장은 왜 원귀들한테 끌려가는건데?! 정신산만하기 그지없고 꺽고 소리지르고 분위기 타는걸로 무서운 것을 끌어내려고 하는 영화였다. 사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영화를 보는 것보다 '잠밤기'의 실제로 겪은 무서...

영화 케이온 더 무비

카미츄도 그렇고 이런 부들부들한 그림체를 참 좋아한다. 내가 못그려서 그러는 것도 있겠지만, 연대에 따른 선호 그림체를 정리한 어느 짤방을 보니 요즘 대세가 케이온 그림체라던가? 아무튼 극장판이라고해서 심하게 화려하고 스케일이 커지는 그런 것은 없었다. 여전히 조용하고 차분하고 소소한 그네들의 이야기. 아주 작은 소소한 웃음거리들이 곳곳에 묻어 있어서 부담없이 즐겁게 볼 수 있었던 그런 이야기. 재미있었다. 가장 재미있었던건, 하모니카 불 수 있다고 했다가 리츠가 하모니카를 주니까 못합니다, 거짓말이었습니다라고 빠른 리액션을 보여주는 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