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운드영상인 게시물 표시

편집하다가 홀랑 날려서 다시 했다. 손가락이 말을 안 듣네..

편집에 좀 익숙해져서 그런지 이제 좀 빨리 할 수 있게 되었는데, 단축키를 잘못 눌러서 앞부분을 홀랑 날려먹는다던가, 아무튼 그런 자잘한 손가락이 말을 안 듣는 실수가 계속되어서, 시간을 잡아 먹었다. 이런 실력으로 언제 영상 편집 외주를 할 수 있겠느냐고... 짧은 BGM을 쭉 길게 넣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야겠다. 아니면 일러의 자동 복사 기능이라도.. 같은 adobe인데 혹시 있지 않을까...

유튜브 영상 자막 작업 중

요즘 유튜브의 영상 처리 속도가 어마 어마하게 느린데, 아마도 업로드량이 너무 늘어나서 이런 식으로 업로드 속도의 제한을 주고 있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4K가 아니라 2K 영상인데도 어제 올린 영상이 아직까지 처리가 되지 않아서, 영상이 처리되는 동안 자막 작업을 하고 있다. 요즘 사용하고 있는 자막 프로그램은 Vrew인데, 영상을 불러오면 영상의 언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자막을 만들어 준다.  기본적인 컷 편집이나 공백 제거, 컷 합치기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사람의 발음 여부에 따라 조금 다르겠지만, 어쨌든 기본적으로 자막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꽤 편리한 편. 그렇다보니 본의 아니게 본인이 어느 부분에서 발음이 새는지도 알 수 있다. 뭐 프로그램의 한계도 있겠지만, 나 같은 경우는 '~의' 발음이 '~에' 발음으로 자주 인식되는 걸 보면 내가 '~의' 발음을 잘 못하는 것 같다. 그래도 언더성우였던 덕분인지 나름 발음 인식률이 좋은 편. 처음 Vrew로 영상 자막 작업을 했을 때는 저 컷편집, 컷 합치기 기능이 있는지도 모르고 사용할 줄도 몰라서 싱크가 밀리거나 잘 안 맞는 자막을 만들었었는데, 지금은 좀 익숙해져서 더 빠른 속도로 싱크를 맞춘 자막을 만들 수 있게 됐다. 아직까지는 빅데이터 수집 중인지 무료프로그램이고 그렇다보니 아직 한계도 있지만, 이상하게 발음 인식된 부분을 보며 웃기도 하고 그래도 이정도 편의성이면 프리미어에서 자막 작업하는 것보다 훨씬 편하기 때문에 차후 유료로 전환된다고 하면 결제를 생각해볼만 하다. 총 5개 클립 중 이제 네번째 클립 작업 중. 작업 속도 무엇...

자막 번역 작업

빵을 만들거나 외식을 하거나 기타 등등 소소한 일상 브이로그들을 찍어서 유튜브에 올리고 있었는데, 자막이 있어서 외국인들도 볼 수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싶어서 엑셀 스프레드 시트로 '구글 번역 알고리즘'을 가져와서 번역 시트를 만들어 봤다. 하나의 행에 한국어로 입력하면 나머지 행에 선택한 언어로 번역을 해 주는 시트였는데, 일일히 자막을 옮겨 쓰고 옮겨 붙이려니 보통 일이 아니었다. 마침, 당시에 리뷰 요청 온 책이 '파이썬' 책이었는데, 그걸 응용해서 자동 번역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한국어로 된 SRT 파일을 드래그해서 넣으면, 각 나라의 언어들로 번역을 해서 SRT 파일로 익스포트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처음에는 한 번 넣으면 20개 국어가 완료될 때까지 로딩이고 뭐고 아무 것도 없었는데, 그게 시간이 오래 걸릴 때는 너무 답답해서 나중에는 하나 완료될 때마다 익스포트하면서 콘솔 창에 띄우게 수정했다. (물론 혼자서는 못하고 도와 준 사람이 있었음) 번역기를 통해서 번역한 거라 유창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한국어를 개떡같이 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것처럼 외국인도 그렇게 봐주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 봄.

부산성우스터디 작업물 동영상 변환 작업

부산성우스터디를 요즘은 개인 문제로 쉬고 있는데 전에 작업했던 것을 동영상으로 변환처리해서 유튜브에 올리려고 오늘 하루 작업을 하고 있었다. 뭐, 무리한건 아니고 틈틈히 하고 있었다. 문제는...거의 끝나가는 시점에... 영상 화면의 텍스트에 성우 CV를 VC라고 적은 것을 발견했다. 전부 철회!!!! 다 엎고 내일 다시 작업해야지 -ㅅ-..;;;;;

베가스 프로14 에디트 MAGIX Vintage Effects Suite 등록

대충 작년 12월달에 험블번들에 베가스 프로 14 에디트 번들이 떴다. 거기에는 MAGIX Vintage Effects Suite가 포함이 되어 있었고. 나는 원래 베가스 프로 11을 썼었는데 이참에 최신(15)은 아니지만 최신에 가까운 프로그램을 써보자하고 새로 구입을 했었다. 그런데 번들로 같이 받은 MAGIX Vintage Effects Suite가 등록이 아니되지 무언가!!! 해결 방법을 위해서 베가스 스터디 카페에 가입을 하고 질문을 남겼는데, 얼마 뒤에 내가 구글링하지 못한 해답 페이지의 링크가 답변으로 달렸다. 바로 여기 ->  http://itcm.co.kr/g_board/5503699 요는 VST이펙트 설치방법으로 설치할 것!! 그렇다. 베가스프로 14 에디트를 켜고, 옵션에서 Preferences로 들어간다. Preferences 창에서 VST Effects를 클릭하고 열린 VST Effects에서 Default VST search folder 끝에 있는  Browse 버튼을 클릭 하여 미리 설치한 Vintage Effects Suite의 폴더를 지정한다. 그리고는 트랙 하나를 만들고 녹음버튼 옆옆 버튼을 클릭하고 오디오트랙 FX 창에서 맨 오른쪽 버튼 세 개 중에서 오른쪽에서 세번째것을 클릭. 그러면 나오는 화면에서 VST를 누른뒤 나온 Corvex, Ecox, Fitox 중 아무거나 선택하고 ADD를 눌러 추가한 뒤 OK를 누른다. 그리고 험블번들에서 받은 키를 입력하고- 등록하면 끝. 솔직히 등록은 했는데 어떻게 쓰는 건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크리스마스 다음날엔 편집실

지난주 목요일에 스터디를 마치고 본래 사운드 파일을 편집을 해야하는데, 바로 게임 관련 행사를 가는 바람에 하지 못했다. 그래서 목요일 다음날인 금요일에 하려고 했지만, 이미 편집실 대여가 풀로 차 있어서 다음주인 26일 화요일이 되어서야 편집실에 가게 됐다. 프로툴을 쓰려면 정품인증 USB를 꼽고 써야하는데 처음 편집실을 빌렸을 때는 그걸 몰라서 한시간을 날렸다. 이번에는 그래도 참여 인원도 적었고해서, 두시간 정도안에 작업이 모두 끝났다. 잠을 잘 못자서 졸다 말다 하긴 했지만 그래도 다음 스터디 전까지는 모두 완료!!! 그러고보니 이걸로 피드백 한 번 더 진행해야하는데, 내가 정신과 치료를 받기 시작하면서 스터디를 못 나가게 되어서 피드백 진행을 못했다. 씁쓸하구만.

부산성우스터디 - VRIB 모임 4회차

VRIB 4회차 모임! 오늘의 스터디 참여 멤버는 7명! 한 명이 날짜를 잘못 알고 있어서 참여를 못했다. 오늘은 예정대로 녹음실을 대여해서 녹음실에서 지난주 연습했던 'KBS성우공채2015년' 예문을 녹음했다. 예문의 대본은 총 5개인데, 끊지 않고 한 명이 들어가서 그대로 쭉 녹음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했다. 이러나 저러나 잘라야하니까. 남는 것은 사진이라고 녹음실 부스 안에 들어가 있을 때 모두 사진을 찍어 드렸다. 내 사진은 콘솔을 같이 맡아 준 멤버가 찍어줬다. 콘솔이 고장이 나서 녹음실 사용교육을 받았을 때랑 조금 달라졌다. 그래서 직원이 와서 바뀐 기계의 사용법을 알려주고 갔다. 마이크1,2번을 트랙에서 설정하는 것을 처음 알았다. 직원이 녹음실 교육에서 배우는 건데... 라고 했는데 난 솔까 처음 알았다. 같이 교육을 받았던 멤버도 처음 들었다고 했다. 교육을 받을 때는 마이크 1번의 위치였던 곳에 마이크 2번이 있었다. 1번 마이크 위치가 너무 구석에 있어서 바깥이랑 소통이 불가하므로 2번 마이크로 녹음을 진행했다. 마우스 커서가 요상하게 바뀌어 있었는데, '프로툴 사용법'을 교육하셨던 광현쌤에게 연락해서 추가로 사용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오늘의 녹음이 끝나고 다같이 단체 사진을 찍었다. 사진은 녹음실 부스 안에서! 일곱명의 멤버의 목소리가 모두 녹음되었다!! 오후 다섯시, 스터디가 종료되고, 멤버들과 헤어져 같은 층의 편집실로 들어갔다. 집에 가서 해도 되긴 하는데, 프로툴 공부도 하고 집중도 할 겸 사전에 미리 예약을 해 두었었다. 편집실 5번. 아이맥이 있다. 앞전 사용자는 이전에 배리어프리 영화제에서 함께 호흡했던 쌤이셨다. 수다를 좀 떨고 감말랭이를 얻어 먹고 교대를 했다. 그리고 편집을 하려고 프로툴을 켰는데!!! 이런 것이 땅!!!! 이게 무언가!!! 뭔지 몰라서 30여분을 삽질을 하고, 마침내 1층 안내데스크에서 해결책을 얻었다. 그...

배리어프리교육 졸작 - 포폴용 편집

11월 3일. 배리어프리교육 때 졸작으로 작업했던 영상을 포폴용으로 편집했다. 이 앞전에 올라 온 애니메이션 영상들이 바로 그것이다. 캐리의 경우 대사가 많았는데, 줄이고 줄여서 30초 이내로 만들었다. 편집은 베가스11 사용.